호사다마라는 말이 불현 듯 떠오릅니다. 제22대 총선에서 승리한 더불어민주당의 미래는 마냥 호재만 넘칠 줄 알았는데 예상치 못한 악재로 내홍을 앓고 있습니다. 원내 제1당에게 돌아가는 국회의장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당내 경선에서 우원식 후보가 89대 80으로 당선되면서 사단이 불거졌습니다. 예상밖 결과로서 한마디로 이변이라 하겠습니다. 이재명의 말빨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국회의장 후보 경선 결과에 실망한 소위 ‘개딸’ 권리 당원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면서 2만명 이상의 당원이 탈당을 진행했습니다. 현재 민주당에서 당비를 내는 권리 당원이 200만명에 육박하는데 2만여명은 10% 수준입니다. 그러나 강성 당원 2만여명은 이재명 대표의 현재와 미래까지 절대적 책임감을 공유하는 세력이라 하겠습니다. 다시 말하면 진찐 친명 당원들인 것입니다.
당연히 탈당 행렬에 이재명 대표는 극구 만류하였지만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는 당원들의 탈당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개딸을 위시한 강성 당원들의 급작스런 탈당은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책 마련을 민주당에서는 골몰하는 분위기로 보입니다.
민주당 2만여명 권리당원 탈당의 원인은 무엇인가?
권리 당원들은 자신들의 목소리가 당내에서 어떤 힘도 발휘하지 못하고 무위로 그쳤음을 이번 국회의장 후보 선출 과정에서 확인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명심이 먹히지 않았다고 생각했습니다. 강성 당원들은 민주당이 앞으로 22대 국회에서 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을 상대로 전임 박병석이나 김진표같은 국회의장과 비교하여 강성 국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판단한 당원들은 무엇보다 추미애 국회의장 선출이 급선무였습니다.
승리한 자의 행복을 누리기 전에 민주당은 위기감에 봉착했습니다. 2만여명의 탈당이라는 행동은 민주당의 대세가 당원 뜻이라는 것을 거스른 결과였습니다. 민주당은 이를 반드시 달래야 하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감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후 민주당은 강성 당원들의 의지를 반영하듯이 원 구성에서부터 대여 강경기조를 보이면서 6월 7일까지 시한을 정해놓고 행동하고 있습니다.
당원들을 달래기 위해 ‘당원권 강화’라는 정책을 내세우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찬반이 나뉘고 있습니다. 민주당에 있어서 당원권 강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까지 말합니다. 당원권 강화의 방침에는 전당대회는 물론 원내대표 선출 역시 포함되고 지역구 혹은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서 권리당원의 의견 몇% 이상을 반영한다는 룰을 당헌 당규에 넣어서 보장하겠다는 내용입니다.
민주당 전체 당원은 500만명 시대이고 권리당원은 2백만명 수준이라 합니다. 따라서 이런 규모의 당원들 의견을 소수 강성이라고 치부하기에는 정당의 근본적인 목적이 희석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개딸의 입맛대로 정책이 강성으로만 집행된다면 이 역시 정당의 운영의 묘를 상실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당 지도부의 딜레마는 존재합니다. 따라서 당원권 강화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당헌 당규에 접목시키는 것이 솔로몬의 지혜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저작권자 ⓒ 국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칼럼 많이 본 기사
|